반응형 Linux17 리눅스 rm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rm 개념 > re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2. 정규표현식(사용법)rm [옵션] [삭제 파일]# 파일 삭제rm [옵션] [삭제 디렉토리]# 디렉토리 삭제 3. 옵션 4. 자주쓰는 명령어rm -rf [파일명]# 현재 위치에 있는 파일 강제 삭제ex) rm -rf test.txtrm -rf *#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 제거rm *.txt# 현재 위치의 ".txt"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 제거 Linux 2025. 3. 20. 리눅스 ps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ps 개념 > process의 약자로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목록을 보는 명령어 2. 정규표현식(사용법)ps [option] 3. 옵션 4. PS 출력 내용의 항목 5. 자주 쓰는 명령어ps -ef | grep [프로세스명]# 특정 프로세스를 검색하여 출력 Linux 2025. 3. 20.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mv 개념 > 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시킬때 사용하는 명령어 2. 정규표현식(사용법)mv [옵션] [디렉토리/원본 파일 ] [디렉토리/사본 파일]# 원본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mv [옵션] [디렉토리/원본 파일 ] [사본 파일]# 원본 파일을 같은 디렉토리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 mv [옵션] [디렉토리/원본 파일 ] [디렉토리]# 원본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의 같은 이름으로 저장 3. 옵션 Linux 2025. 3. 20. 리눅스 more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more 개념 >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끊어서 볼 수 있는 명령어이다. > 쉬운 설명 : 길이가 긴 파일을 화면 단위로 끊어서 출력하는 명령어이다. 2. 정규 표현식 (사용법)more [option] [파일이름] 3. 옵션 4. more 실행 중 사용하는 명령어 5. more 실행 중 문자열 검색 Linux 2025. 3. 20. 리눅스 mkdir & rmdir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개념 1) mkdir > make directory의 약자로,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이다. 2) rmdir >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,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이다. 2. 정규 표현식(사용법) 1) mkdir 정규 표현식mkdir [-옵션] [디렉토리 이름]# 현재 위치에 디렉토리 생성mkdir [-옵션] [/경로/디렉토리 이름]# 지정하는 경로에 디렉토리 생성ex) mkdir /home/user/test_folder 2) rmdir 정규 표현식rmdir [-옵션] [디렉토리 이름]# 현재 위치에서 해당 디렉토리 삭제rmdir [-옵션] [/경로/디렉토리 이름]# 지정하는 .. Linux 2025. 3. 20. 리눅스 ls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ls 개념> list의 약자로,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(디렉토리, 파일)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 2. ls 정규 표현식(사용법)ls [옵션] [파일]# 파일 목록 출력ls[옵션][디렉토리]# 디렉토리 목록 출력 3. 자주 쓰는 옵션 4. 전체 옵션 Linux 2025. 3. 20. 리눅스 head / tail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개념 1) head > 파일의 앞부분의 내용을 지정한 행의 수 만큼 출력하는 명령어 2) tail > 파일의 뒷부분의 내용을 지정한 행의 수 만큼 출력하는 명령어 2. 정규 표현식(사용법) 1) headhaed [옵션] [number] [파일이름]# 1개의 파일 출력. 기본출력 개수는 10개이다.haed [옵션] [number] [파일이름1] [파일이름2]...# 여러개의 파일 출력 2) tailtail [옵션] [number] [파일이름]# 1개의 파일 출력. 기본출력 개수는 10개이다.tail [옵션] [number] [파일이름1] [파일이름2]...# 여러개의 파일 출력 3. 옵션 Linux 2025. 3. 19. 리눅스 grep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정의 > 특정 파일에서 지정한 문자열이나 정규표현식을 포함한 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. > 파일, 프로세스, IP, 포트 등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한다. 2. 사용 방법 1) 정규 표현식find [옵션] [경로] [표현식] 2) 문자열로 찾기grep 'error' 파일명# 특정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grep 'test123' 파일명1 파일명2# 여러개의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grep 'test123' *# 현재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grep 'test123' *.log# 특정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에서 'tes.. Linux 2025. 3. 19. 리눅스 find 명령어 사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정의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찾는다. (하위 디렉토리, 숨겨진 파일 표시) 2. 사용 방법 1) 정규 표현식find [옵션] [경로] [표현식]# 상대 경로와 절대 경로가 가능하며, 경로 인자 값을 생략하면 현재 위치(.)로 경로 설정됨# 유닉스는 경로 설정을 안하면 명령어 실행 안됨 2) 파일명으로 찾기 (-name)ex) find . -name "*test*"# 현재 위치에서 test가 들어가는 파일 찾기 3) type으로 찾기 (-type)파일 타입설명d디렉토리f일반 파일l심볼릭 링크ex) find . -type d# 현재 디렉토리에서 모든 디렉토리 찾기ex) find . .. Linux 2025. 3. 19. 리눅스 cp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cp (Copy) 개념 파일 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2. 정규 표현식cp [옵션][복사할 디렉토리][복사될 디렉토리]# 디렉토리 복사cp [옵션][복사할 파일][복사될 파일]# 파일 복사 3. 옵션 Linux 2025. 3. 18. 리눅스 cd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cd (Change directory) 개념 디렉터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2. 정규 표현식cd [옵션] 디렉토리 3. 옵션 4.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1) 절대경로cd /home/username/Downloads# 절대경로는 시스템 루트 "/" 에서 시작된다. "/"로 시작되면 절대 경로이다. 2) 상대경로cd Downloads# 현재 디렉토리에서 시작된다. 리눅스 기본 디렉토리는 홈 디렉토리로 설정되어 있다. Linux 2025. 3. 18. 리눅스 cat 명령어 사용 방법 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 1. cat 개념>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, 리다이렉션 기호('>')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일 생성 2. 정규 표현식cat [옵션] [파일명] 3. 옵션 4. 예시 Linux 2025. 3. 18. 이전 1 2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