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리눅스 grep 사용 방법

SlowOwl 2025. 3. 19.
반응형

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 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

 

1. 정의

 > 특정 파일에서 지정한 문자열이나 정규표현식을 포함한 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.

 > 파일, 프로세스, IP, 포트 등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한다.

 

 

2. 사용 방법

 1) 정규 표현식

find [옵션] [경로] [표현식]

 

 2) 문자열로 찾기

grep 'error' 파일명
# 특정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

grep 'test123' 파일명1 파일명2
# 여러개의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

grep 'test123' *
# 현재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

grep 'test123' *.log
# 특정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에서 'test123' 문자열 찾기

 

 3) 정규 표현식으로 찾기

grep '^[ef]' 파일명 
# 특정 파일에서 "ef" 문자열이 포함된 행을 찾는다.

grep 'c*' 파일명 
# 특정 파일에서 c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를 찾는다.

grep 'a....z' 파일명 
# 특정 파일에서 a로 시작하고 z로 끝나는 6자리 단어를 찾는다.

grep [a-e] 파일명
# 특정 파일에서 a,b,c,d,e로 시작하는 단어를 모두 찾는다.

grep [aA]pple 파일명 
# 특정 파일에서 apple 또는 Apple로 시작하는 단어를 모두 찾는다.

grep '^[ab]' 파일명 
# 특정 파일에서 a나 b로 시작되는 모든 행을 찾는다.

grep 'apple'[0-9] 파일명
# 특정 파일에서 apple로 시작되고 0나 9의 숫자로 끝나로 시작되는 모든 행을 찾는다.

 

 

3. 옵션

grep 옵션

 

4. grep 종류

grep 종류

 

반응형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ls 명령어 사용 방법  (0) 2025.03.20
리눅스 head / tail 사용 방법  (0) 2025.03.19
리눅스 find 명령어 사용법  (0) 2025.03.19
리눅스 cp 명령어 사용 방법  (0) 2025.03.18
리눅스 cd 명령어 사용 방법  (0) 2025.03.18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