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
1. NTP 개념
> NTP(Network Time Protocol)은 인터넷 상의 시간을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통신망 시간 규약이다.
> 라디오나 원자시계에 맞추어 시간을 조명하며 밀리초(1/1000) 단위까지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.
2. NTP 포트
> 기본 포트는 UDP 123 사용
3. 한국에서 운영 중인 NTP 서버
kr.pool.ntp.org time.bora.net time.nuri.net |
4. NTP 설치
> 최신 CentOS는 NTP가 설치되어 있음
yum install ntp |
5. NTP 설정
vi etc/ntp.conf server kr.pool.ntp.org # NTP 서버 지정, NTP 서버 IP 또는 URL 입력 chkconfig ntpd on # NTP 서비스 시작 chkconfig --list | grep ntpd # NTP 서비스 등록 확인 /etc/init.d/ntpd start # NTP 서비스 시작(동기화까지 5~10분 소요) ntpq -p # NTP 확인 |
6. NTP 확인
ntpq -p # * : 현재 sync를 받고 있음 # + :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를 하고 있지 않음 # - :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가능 목록에서 제외 # blank : 아무값이 없으면, 접속 불가능 |
7. NTP 서비스 확인
반응형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cat 명령어 사용 방법 (0) | 2025.03.18 |
---|---|
리눅스 alias 설정 방법 (0) | 2025.03.18 |
crontab 사용 방법 (0) | 2025.03.17 |
리눅스 netstat 명령어 사용법 (0) | 2025.03.17 |
리눅스 파일/ 디렉토리 명령어 (0) | 2025.03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