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# 빨간색 글자는 반드시 입력해야하는 고정 명령어이며, 보라색 글자는 상황에 따라 변경하는 가변 명령어입니다.
1. netstat 정의
> 네트워크 접속, 라우팅 테이블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를 보여주는 도구
2. 정규 표현식
netstat 옵션 # 기본 사용 방법 netstat 옵션 | grep 포트 번호 # 특정 포트에 대한 정보 netstat 옵션 | grep 서비스명 #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정보 # ex) https |
3. 옵션
4. 예시
netstat -a # 연결되었거나 연결 대기 중인 포트 정보 출력 netstat -at # 연결되었거나 연결 대기 중인 tcp 포트 정보 출력 netstat -au # 연결되었거나 연결 대기 중인 udp 포트 정보 출력 netstat -ap | grep 프로세스명 # 특정 프로세스의 포트 정보 출력 netstat -an | grep 포트번호 # 특정 포트 정보 출력 netstat -ano # 연결되었거나 연결 대기 중인 포트 정보와 PID 출력 netstat -rn # 연결된 라우팅 정보 출력 netstat -tp # 연결된 프로세스의 PID 정보 출력 netstat -nap # 연결되었거나 연결 대기 중인 포트 목록과 프로그램 출력 |
반응형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cat 명령어 사용 방법 (0) | 2025.03.18 |
---|---|
리눅스 alias 설정 방법 (0) | 2025.03.18 |
crontab 사용 방법 (0) | 2025.03.17 |
리눅스 NTP 설정 (시간동기화) (0) | 2025.03.17 |
리눅스 파일/ 디렉토리 명령어 (0) | 2025.03.17 |
댓글